"신입한테 왜 경력을 요구하나요?"
라는 질문을 받곤합니다.
질문만 봐서는 누가봐도 꽤 억울해 보이기도 하죠.
'그러게...신입한테 경력을 쌓아오라니..이게 말이야, 막걸리야..'
'수시채용'으로 채용 트랜드가 바뀌면서 자타공감도 처음에는 취준생만큼이나 통탄했던 대목이었습니다.
경력이 없어서 '신입'인데, 되려 신입한테는 경력을 만들어오라니요. 엄청난 모순 아닌가요?
그런데 우리가 단단히 오해하고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바로 신입에게 기대하는 경력은 어디까지나 목표 직무와 관련된 다양하고 꾸준한 '경험'의 성격이 크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력증명서'를 별도로 요구하지 않는 것이기도 하죠.
경력 증명이 중요했다면 애초에 경력사원 모집 공고를 올렸을거고요, 그에 따른 객관적인 증빙도 제출해야 하며,
아울러 과거 경력 성과에 따라 연봉이나 기타 처우에 대한 협의도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직무와 관련된 일련의 대내외 활동'이 곧 신입에게 기대하는 '직무 경력'이라고 이해하시는 것이 적절합니다.
일종의 학생부종합전형처럼 꾸준하고, 체계적으로 지원 분야와 관련한 누적된 노력사항을 판단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활동에 정답은 없지만,
아래 과거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대내외 활동의 우선순위와 본인에게 꼭 필요한 경험인지 여부를 판단하시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1. 대외활동 우선순위
megrey.tistory.com/57?category=926306
2. 대외활동 선택기준
megrey.tistory.com/98?category=926306
'취업고민FAQ'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학' 언제 하는게 좋을까요? 취업에 도움이 될까요? (0) | 2021.02.05 |
---|---|
입사할까? 말까? (입사여부 판단기준) (0) | 2021.01.18 |
복수전공 VS 부전공 뭐가 더 취업에 유리할까요?? (0) | 2021.01.08 |
'학사 수료 vs 졸업 유예' 취업에 유리한 선택은? (0) | 2020.10.20 |
취업에 대한 대표적인 오해 3가지 (학교서열, 나이, 휴학) (1) | 2020.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