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타공감입니다 ^^
얼마전에 한 학생으로부터 '인턴 면접'과 '정규직 면접'과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여러분 입장에서는 충분히 고민이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이번 포스팅을 올려봅니다.
우선 어떤 고용형태의 면접이건 간에 여러분들이 면접관에게 확실하게 보여줘야 하는 것 한 가지는 명백합니다.
바로 '입사 의지' 입니다.
'우리 회사에 들어오고 싶은 이유가 분명한가?'
즉, 지원 동기가 명확할수록 입사 후에 조직 및 업무 적응에 훨씬 유리해지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입사 의지를 표현하는 '방향성'에서 (체험형) 인턴 면접과 정규직 면접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기업에서 '채용하려는 목적'이 애당초 다르기 때문입니다.
'체험형 인턴' - '지원자에게 일 경험을 주기 위한 채용'이라면,
'채용형 인턴 및 정규직' - '회사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채용'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명확한 차이를 이해하면 그에 '부합한' 답변을 통해 합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체험형 인턴 면접 답변 방향 ]
☞ 체험형 인턴 채용 목적
- 청년에게 '일 경험 기회 제공'을 통한 사회적 책임 실현
☞ 원하는 인재상
-소정의 기간(3개월 미만) 동안 성실하고 적극적인 태도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원자
-팀의 밝은 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자
☞ 면접 답변 방향
- 해당 경험이 지원자 본인의 향후 직무 목표(비전) 달성에 있어 '왜' 필요한지 어필
- 과거 대내외 활동 경험에 근거한 '성실성', '책임감', '수용적인 태도' 어필
* 대내외 활동 경험 : 학회, 동아리, 아르바이트, 봉사 활동 등
[ 정규직 신입사원 면접 답변 방향 ]
☞ 정규직 신입사원 채용 목적
- '직무 생산성 향상'을 통한 기업 발전에 기여
☞ 원하는 인재상
- 직무 적합성이 높은 지원자 :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관련 역량(지식,기술,태도)을 보유한 지원자
- 조직 적합성이 높은 지원자 : 소통능력에 기반한 팀웍을 통해 공동의 목표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지원자
☞ 면접 답변 방향
- 지원 기업에 대한 높은 관심과 이해도 어필
- 지원 직무와 관련한 '성과 창출 경험'에 근거한 보유 역량 어필
* 성과 창출 경험 : 전공프로젝트, 현장실습, 기업체 인턴, 직무관련 공모전 등
- 직무 역량 향상을 위한 본인만의 체계적이고 꾸준한 노력의 내용
- 위의 과정에서 다른 지원자와 본인을 구별시킬 수 있는 차별화(=핵심) 역량
물론 위의 답변 방향이 비단 면접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서류전형의 '자기소개서' 작성 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 유념하기 바랍니다.
'3. 구직스킬업 > 면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신입사원 면접 유형변화 (0) | 2023.02.10 |
---|---|
불리한 면접질문에 대처하는 방법 (0) | 2023.01.19 |
AI면접 준비방법 3탄 : 단계별 세부 사항 및 응시 TIP (0) | 2022.12.13 |
절대 하면 안되는 '마지막 질문' 유형 (0) | 2022.12.12 |
'상황면접' 잘 보는 방법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