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편 (직무의 세계 - 영업 1탄 (개요))에 이어 계속합니다.
4. 영업의 종류?
1) 목표 시장 : 국내영업 VS 해외영업
-영업의 대상이 국내 고객인지, 해외 고객인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국내 영업은 국내 시장의 매출 향상을 위해, 해외 영업은 해외 시장의 매출 향상을 위해 다각도로 업무를 진행합니다.
-다만, 해외 영업의 경우 해외 고객을 상대로 소통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영어, 수출입지식 등이 요구됩니다.
2) 고객의 유형 : B2B VS B2C
-고객이 '법인'인지, '개인'인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대개 우리가 취업하게 될 영업직무는 '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B2B(BIZ to BIZ)' 입니다.
-B2C는 일반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판매' 영업으로, 대리점에서의 보험영업, 자동차영업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3) 영업방식 : 필드영업 VS 관리영업
- 신규 거래처를 발굴해야 할 경우 '필드(Field)영업', 기존 거래처를 관리할 경우 '관리(Manage)영업'이라고 합니다.
- 대게 대기업, 중견기업처럼 국내외적으로 인지도가 높고, 취급하는 상품의 경쟁력이 높을수록 '관리영업'의 비중이 더 큽니다. 이를테면 '농심' 영업팀은 이미 납품하고 있는 다양한 유통채널(이마트, 홈플러스, 백화점 등)의 담당MD와 우호적인 관계를 잘 유지하면서 계약된 물량을 정기적으로 납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면에 신생 기업일수록 전투적인 영업을 통해 판로를 개척하고, 안정적인 매출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입니다. 이때는 당연히 '맨땅에 헤딩하듯' 잠재력이 있는 모든 바이어를 대상으로 하드한 '필드영업'을 해야 합니다.
4) 상품유형 : 상품 VS 서비스 VS 기술/SW VS 콘텐츠
-내가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상품영업', '서비스영업', '기술영업', '콘텐츠영업'으로 전문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눈에 보이는 상품만을 영업으로 생각하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예를들어, 은행에서 행원이 내방객을 대상으로 각종 '금융상품(청약, 보험, 펀드 등)'을 판매하므로 '금융상품영업'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영업은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영업맨으로 성장'하고 싶다면, 분야별로 다양한 직무 역량을 필요로합니다. 물론 신입사원으로서 입사 단계에서는 다른 직무에 비해서 '스펙'차원에서 요구 조건이 까다롭지는 않을수는 있지만,, 이 말은 반대로 입사 후에는 그 어떤 직무에 비해 더 광범위하고, 다양한 직무 역량이 필요한 직무이기도 합니다.
그럼 다음 화에서는 '직무의 세계 - 영업 3편 (요구역량, 추천대상, 비전)'으로 돌아오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2/large/016.png)
'1. 진로정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의 세계] 영업 4탄 (직무장점) (0) | 2023.01.29 |
---|---|
[직무의 세계] 영업 3탄 (요구역량 4가지) (0) | 2023.01.13 |
[직무의 세계] 영업 1탄 (직무개요) (0) | 2023.01.09 |
문과생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될 수 있다 ! (0) | 2022.03.06 |
'성격'과 '흥미' - 진로설정에 뭐시 더 중헐까? (0) | 2021.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