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취업역량업

기능사,기사,산업기사,기능장,기술사 차이점 비교

자타공감 2024. 6. 5. 16:51
728x90
728x90

1. 관심산업군 어필에 용이한,  '기능사' 

 

☞ 개요

해당 영역의 숙련도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바로 활용가능한 실무역량을 검증하는 등급

예) 한식조리기능사, 제과기능사, 양장기능사, 승강기기능사, 전자출판기능사, 미장기능사, 주조기능사 등..

☞ 응시자격

없음

☞ COMMENT

난이도가 자체는 낮기 때문에 자격 자체로 직무 역량에 대한 변별력을 가지기는 어려워.

하지만 지원 산업분야에 대한 관심을 어필할 목적으로 활용한다면 충분히 매력있을 수 있어.

예를들면 '제과기능사'가 있다고 해서 제빵사로서 엄청난 능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제과 브랜드의 영업,마케팅 등 사무 직군으로 취업을 희망한다고 했을 때는 '남다른 스펙'이 될 수 있다는 뜻이야.

2. 지원 분야의 기초역량을 증명할 수 있는,  '산업기사'

 

☞ 개요

해당 영역에 대한 '기초 이론'과 '실무능력'을 동시에 검증하는 등급

☞ 응시자격 제한

- 관련 학과 대학 졸업자 (졸업예정자)

- 기능사 취득 후 관련 실무 1년 이상 보유자

- 관련 실무 2년 이상 종사자

☞ COMMENT

난이도 자체는 높지 않지만 직군별로 굉장히 다양한 자격이 존재하기 때문에, 지원 직무와 관련한

기초 레벨의 지식 역량을 입증하기에는 효과적이야~

3. 공기업, 공공기관 가산점 비중이 높은 취업스펙,  '기사'

☞ 개요

해당 영역의 '공학적 기술 지식'과 '실무역량'을 검증하는 등급

☞ 응시자격

- 관련 학과 대학 졸업자 (졸업예정자)

- 산업기사 취득 후 관련 실무 1년 이상 보유자

- 기능사 취득 후 관련 실무 3년 이상 보유자

- 관련 실무 4년 이상 종사자

☞ COMMENT

현실적으로 4학년 2학기 때 취득가능한 자격이야.

특히 공학분야 전공자 중에서 '공기업, 공공기관'으로

취업을 희망하는 친구들이 '(기업별, 직무별) 가산점 자격'에 따라 가장 많이 취득하는 자격등급이라고 할 수 있지~

따라서 저학년 시기에 미리미리 가산점 자격사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해 두는 게 중요해

 

4. 해당 분야 전문성을 입증하는 궁극의 레벨 : 기능장 / 기술사 

 

☞ 개요

해당 영역의 최상급 숙련기술(기능장) 또는 고도의 전문지식 및 실무역량(기술사)을 검증하는 등급

☞ 응시자격

- 관련 학과 대학 졸업 후 실무 6년 이상

- 기사 취득 후 관련 실무 4년 이상 보유자

- 기능사 취득 후 관련 실무 7년 이상 보유자

☞ COMMENT

응시 자격을 보면 알겠지만, 현실적으로 취업스펙으로 활용이 불가능한 레벨이지. ㅎ

이 등급의 자격은 취준용이라기 보다는 입사 후 본인의 전문성 확장을 위해 취득을 고려하는게 좋겠지?

 

기타. 서비스 분야 

 

상기 외에도 서비스 분야에 해당하는 자격은 1,2급 또는 단일등급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예) 사회조사분석사, 컨벤션기획사, 소비자전문상담사, 임상심리사,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직업상담사 등

 

 

 

응시자격 조건체계 - 국가기술 자격제도 | Q-net

 

응시자격 조건체계 - 국가기술 자격제도 | Q-net

 

www.q-net.or.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