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의 세계] 마케팅 1탄 (마케팅이란)
안녕하세요~ 자타공감입니다.
오랜만에 직무의세계로 돌아왔습니다.
두 번째 '직무의 세계' 주인공은 '마케팅'입니다.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다수가 꿈꾸는 직무이기는 하지만, 정작 마케팅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경우는 잘 보지 못했습니다.^^;;
이번 기회에 마케팅 직무에 대해서 이해도를 높여 취업 목표를 더욱 명확히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1.마케팅이란,
경제활동은 생산과 소비로 이루어집니다.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주체를 '생산자'라고 부르고요,
그러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돈을 주고 사용하는 주체를 '소비자'라고 부릅니다.
마케팅은 이 두 주체간의 관계를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흔히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죠.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는 방향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나, 이런거 필요해' (고객 니즈 충족)
-시장에서 소비자가 필요한 것을 만들어서 판다.
-코로나 발발 직후 '마스크 대란'을 떠올려 보면 이해가 빠릅니다. 시장에서는 엄청난 양의 마스크 수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생산자는 그에 상응하는 마스크를 생산해서 시장에 내 놓았지요.
2) '너, 이런거 필요할거야' (고객 원츠 충족)
-소비자가 필요하도록 느껴서 판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 해당됩니다. 불과 2000년 초만 해도 스마트폰 없이도 우리는 잘 살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어떤까요?
스마트폰 보급률이 90%를 넘기고, 하루에 한 번이라도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고는 살 수 없는 세상이 됐습니다.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그러한 고객의 '원츠'를 상품화시켜 대성공을 시켰기 때문입니다.

2.마케팅의 존재 목적,
마케팅이 필요한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마케팅이 없다면~'을 가정해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생산자인 기업이 무언가를 계속 만들어냅니다.
그런데 정작 소비자는 그것들을 필요로 하지도, 원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면 당연히 구매를 하지 않겠죠.
소비가 일어나지 않으면 기업은 돈을 벌 수 없으니 파산하게 됩니다.
그리고 직원들은 하루 아침에 일자리를 잃게 되죠.
그리고 나라 경제는 파탄에 이르게 되는 것이죠.
극단적인 예입니다만, 이 정도로 생산과 소비활동은 국가 경제에 근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케팅'은 끊임없이 소비자를 자극해서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더 많이, 더 자주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존재감을 '지속적으로 각인'시켜야만 하는 것이죠.
그래서 기업의 존재 이유이기도 한 '영리 추구' 활동을 강력하게 서포트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온/오프라인으로 매일같이 셀 수 없이 다양하고 복잡한 마케팅을 경험합니다.
그래서 때로는(혹은 매우 자주) 필요하지도 않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필요하거나, 원한다고 착각하여'
'충동적인' 소비를 하죠.^^;;
반면에 제 아무리 뛰어난 상품이나 서비스라고 해도 목표로 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적절하게 마케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조용히 시장에서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렇게 좋은 걸 왜 몰랐지? 라는 생각이 드는 제품들에 해당되죠)
결론적으로 '마케팅'이 없이는 어떠한 제품이나 서비스도 잘 팔 수 있는 방법은 없기 때문입니다.

3. 마케팅 프로세스
일반적으로 제조사의 마케팅 업무는 다음의 순서대로 진행됩니다.
회사의 경영 상황에 특정 단계를 건너뛰거나 혹은 특정 단계에 더 집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1. 고객 니즈/원츠 파악
- 시장조사 (거시,미시환경분석 / SWOT분석 / 3C분석 등)
2. 고객 니즈/원츠에 부합한 제품/서비스 개발
3. 제품/서비스 마케팅 전략 수립 및 실행
1) 소비 타겟 설정 : STP 전략 (시장세분화 > 타겟설정 > 포지셔닝)
2) 마케팅MIX : 4P전략 (제품/가격/프로모션/유통)
4. 마케팅 전략 목표 설정 및 실시
5. 마케팅 효과 관리 및 개선전략 수립
4. 마케팅 / 영업 / 판매의 관계
마케팅과 영업, 판매에 대해서 의미를 혼동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아래 그림처럼 마케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해서 판매하는 전 과정에서 핵심적인 전략을 수립'하는 일을 한다면,
영업은 그러한 전략을 중추로 하여, 구체적인 '영업 계획'을 세운 후 '매출 향상'을 위해 직접 발로 뛰는 일을 합니다.
예를들어 마케팅팀에서 A라는 제품의 주 타겟을 20대 여대생으로 정하고, 그게 걸맞는 컨셉을 잡았다면
영업은 그러한 방향성 하에서 20대 여대생이 자주 방문하는 온라인몰과 오프라인 유통채널을 선정하여 매출이 가장 잘 나올 것 같은 핵심 채널을 중심으로 'A제품에 대한 영업'을 해야 하는 것이죠.

to be continued..
(2탄에서는 마케팅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